우리동네최고최고

자양면 용산리, 예와 전통 지키며 사는 사람들

영천시민신문기자 2013. 9. 16. 11:30
반응형

 

                       예와 전통을 지키며 사는 사람들

                       자양면 용산마을

 

 

기룡산 산맥이 낮아지는 곳에 자리를 튼 자양면 용산리는 영천에서 북쪽으로 약 20km, 자양면소재지에서 약 3km 떨어진 곳에 있다. 수려한 산세가 촌락을 품은 듯한 마을 중심으로 원계천이라고 불리는 계곡이 흐르고 마을 앞으로 넘실거리는 영천댐의 정경이 펼쳐지는 곳이다.


영천댐 구비길을 돌아 자양면소재지를 2km쯤 지나면 용계서원이라는 팻말을 만날 수 있다. 팻말을 따라 왼쪽으로 꺾으면 마을보다 먼저 신당숲이라는 울창한 숲을 만난다. 보호수로 지정된 은행나무와 동제(마을의 수호신인 동신에게 지내는 제사)를 지내는 느티나무를 위시하여 한눈에 보아도 세월이 느껴지는 고목들이 아름드리 가지를 펼쳐 그늘을 만들고 있다. 마을사람들은 그 숲에 작은 정자를 지어놓고 장을 보거나 수확물을 팔러 드나들며 잠시 앉아 서로 안부를 나누는 장소로 삼았다.


오늘은 용산마을의 역사를 취재한다는 소식을 듣고 마을의 어르신들이 정자에 모여 앉았다. 벽진이씨 감무공파 33세손인 이창기(68)씨가 마을의 역사와 사람들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자 어르신들이 하나둘씩 말을 보태며 긴 이야기로 이어졌다.
용산리는 수몰 전 면소재지가 있던 마을로 원각, 장밭, 월연, 인구를 모두 용산리라고 불렀으나 원각을 제외하고 모두 수몰되었다고 한다. 원각은 상원, 중원, 하원(윗마을, 중간마을, 아랫마을)이라는 3개의 자연부락 중 제일 중요한 마을 이라고 하여 원각이라 했으며 1901년 행정구역 개편 때 기룡산에서 이름을 따 용산리가 되었다.

 

마을어른들과 대화를 나누는 김용석 시민기자(맨 우)


용산리는 벽진이씨 집성촌이다. 원래는 유씨, 지씨 등 세 개의 성씨가 함께 어울려 살았는데, 현재는 벽진이씨가 절반 정도이고 나머지는 타성이 섞여 살고 있다고 한다.
벽진이씨의 입향조(마을에 처음으로 정착한 각 성씨의 조상)는 이지백이라는 선비로 그 호를 딴 정자 독락당이 원계천 우측에 자리하고 있다. 그 옆으로는 구한말 학자이자 항일운동가인 명암 이태일 선생이 학문을 연마하고 후학을 양성하던 학당 용산정사가 있고 바로 옆으로 벽진이씨 종사인 원계재가 있다.


원계천 맞은편으로는 유형문화재 제53호, 54호, 55호인 생육신 이경은 선생 부조묘와 생육신 이경은 선생 제단 그리고 용계서원이 함께 자리하고 있다. 이 세 건물은 생육신의 한분인 이맹전 선생과 관련이 있다.
경은선생 34세손인 용산리 이현준(50)씨는 올해 귀농 10년차인 젊은 농부이자 마을의 이장이다. 오늘은 자두를 출하하기 위해 공판장으로 향하다 잠시 정자에 함께 앉아 마을 이야기를 보탰다.


용산리는 현재 약 45호 120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주로 농업에 종사하고 있으며 복숭아, 자두, 사과, 고추, 채소 등의 농작물 재배가 주 수입원이다. 이 마을로 시집와 57년을 살았다는 이복순(75)씨는 “담배, 벼농사 등의 농사를 지어 자녀들을 키웠는데 이제 농사를 거의 못한다. 자녀들이 출가해 대처에 나가 살고 간간히 먹을 야채나 지어 먹는다”고 말했다.


벽진이씨 34세손 이종갑(57)씨는 “옛부터 용산리에는 마을의 제사를 지내기 위한 당계, 교육을 위한 학계, 일꾼들을 먹이기 위한 초군계 등을 조직해 의견을 수렴하여 마을을 운영하였다. 현재는 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인터넷 포털싸이트에 카페를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아직 초보단계이지만 출향한 자녀들을 중심으로 소식을 전하며 활성화를 꾀하고 있다”고 말했다.


용산리는 마을 이장을 비롯하여 최순임(67) 부녀회장, 손태식(53) 새마을지도자, 이인기(79) 노인회장, 이종갑(57), 정용호(52) 추진위원, 이호기(77) 자양면발전협의회장 등이 마을의 발전을 위해 애쓰고 있다. 벽진이씨 대종손인 이길원(50)씨는 현재 대구광역시청에 근무하며 종사를 지키고 있다. 
김용석 시민기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