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천 시

자동차 진입 억제용 말뚝 제구실 할까

영천시민신문기자 2012. 5. 30. 20:30
반응형

 

자동차 진입억제용 말뚝 제구실할까
시민 “보행자에 위험” vs “지도단속 한계” 행정

 


인도에 설치한 자동차진입억제용 말뚝이 실효성이 없다는 주장이다. 차량진입을 효과적으로 막지 못하는데다 보행자에게 오히려 장애물이 되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난 23일부터 시내 일부구간 인도 위에 자동차 불법 주.정차를 원천 통제한다는 명분으로  길이1m, 지름15cm 가량의 ‘자동차진입억제용 말뚝’ 50여개를 설치했다. 행정에서는 인도 위 불법주차로 인해 그동안 일부 보행자들이 통행 불편에 따른 민원이 꾸준히 제기해 왔다는 것이 말뚝설치의 이유다.


하지만 일부 주민들은 말뚝을 설치할 곳과 하지 않아야할 곳을 제대로 구분하지 못한 채  행정편의주의식으로 설치한 전형적인 탁상행정이라며 비난하고 있다. 인근 상가나 지역주민의 의견청취가 전혀 없었다는 것.

<‘자동차진입억제용 말뚝’이 상가 출입문에서 너무 가까워 영업활동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시민 김 모(61.최무선로 294-1번지)는 “상점입구 출입문과 불과 30cm거리에 기둥을 설치해 출입에 방해가 된다. 설치 장소에 대한 원칙이 없다.”고 지적하고 “시설물이 세워져 있어 야간에 지나가는 행인이 말뚝에 걸려 다칠 뻔 했다. 보행자를 안전을 위한 시설물이 오히려 보행자를 더 위험하게 만들고 있다.”고 했다. 또 다른 주민은 “문외동 상가 앞 인도에는 상시 불법주차를 일삼는데도 설치되지 않고 있다. 반면 불필요한 교차로 횡단보도에는 오히려 설치해 보행자의 불편을 가중시키고 있다.”며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였다. 그는 “매일 교통지도 단속요원이 수시로 단속하고 있는데 차라리 단속 횟수나 시간을 늘리든지 해야지 원칙 없는 구조물 설치로 차량을 통제하겠다는 발상은 세금만 낭비할 뿐 별 실효성이 없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에 대해 시청 생활경제교통과 담당은 “우선 915만원의 예산으로 50개를 먼저 설치하고 있다. 이번 사업은 보행자의 보행환경개선을 위해 인도 위 불법주정차가 근절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추가 설치 할 계획이다.”고 설명한 후 “지난해 영천지역 교통문화지수가 꼴지 수준으로 교통지도단속 만으로는 한계가 있어 자동차진입억제 말뚝 설치는 불가피하다. 그리고 장애인 통행을 고려한 1.5m간격으로 설치하고 있으며 특히 설치지역 불법주차는 강력 단속해 교통약자인 보행자의 보행권 확보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다.”고 해명했다.
장지수 시민기자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