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천 시

종자산업 불모지 영천서 당근 씨앗 생산 판매하는 젊은 박사

영천시민신문기자 2016. 7. 8. 08:00
반응형


       종자산업 불모지 영천서 당근 씨앗 생산 판매하는 젊은 박사
              농가들의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자리하는 것이 꿈




종자산업의 불모지인 영천에서 종자 산업에 몰두하며 끊임없는 노력으로 매출증대를 가져오는 농촌 젊은 박사가 있어 관심이 쏠리고 있다.
주인공은 금호읍 냉천리에서 하우스로 당근 씨앗(종자)을 키우는 김용수 박사(41, 금호읍 약남리)
김 박사는 대구대 생명환경대학 원예학을 전공하고 농학박사 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채소 개인 육종가(품종을 육성하는 기술자) 활동을 하고 있다.


김 박사는 1998년 대학에서부터 당근 육성 연구에 열정을 쏟았으며, 대구대 원예학과, 대구한의대 약용식물학과, 충남대 원예학과에서 원예학 채소학 유전학 육종학 채종학 약용식물육종학 등 강의를 하였으며, 비슷한 시기에 냉천리에 땅 4,500㎡를 빌려 한 동 약 200㎡ 하우스 17동을 짓고 당근 씨앗을 육성하고 있다.


종자산업 불모지에서 당근 종자산업을 설명하는 김용수  농학박사    문의  010  9661  4275


씨앗(종자) 산업은 다른 산업과는 달리 오랜 기간이 걸려야 결실이 나온다는 시간적인 기다림이 필수다. 우수한 품종을 육성하기 위해서는 7년 이상의 시간이 소요되며, 평생 품종 육성에 몸을 담고 있더라도 최고의 품종을 육성하지 못하는 경우도 비일비재하다.

현재 김 박사는 하우스 9동에서 매년 씨앗을 개발해 제주도 경상남도 강원도 등에 시험보급 하고 있는데, 아직 매출은 작은 편이다.


당근 씨앗 생산은 7월에 씨를 뿌려 이른 봄까지 하우스 내에서 잘 관리해 계통을 선발하고 , 선발된 계통들은 다시 하우스내 정식하여 그해 7월경 종자 생산이 가능하다.


당근 씨앗이 거의 완성 되기전 모습


김 박사의 당근 품종 육성 방법중 특이한 점은 하우스내 돼지 허파를 양철통에 담아 두고 파리를 사육하고 있는데, 이는 파리를 화분(꽃가루) 매개 충으로 이용하고 있기 때문이다. 보통 벌을 매개체로 이용하고 있으나 김 박사의 하우스엔 파리를 이용하고 있다. 벌에 비해 파리는 쏘일 위험부담이 없으며, 한창 품종 육성을 위한 교배시기는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는 6월인데, 이시에 벌은 협소한 하우스내에서 활동 능력이 파리에 비해 현저히 떨어진다. 그리하여 당근 노지 및 하우스내 꽃 교배를 위하여 국내의 경우 보통 3월 마지막 주부터 돼지 허파를 구입하여 파리 사육을 실시한다. 이것은 벌이 매개체로서 화분 또는 꿀을 사용하는 것 보다 아주 저렴해 일석이조 이상의 효과가 있다.


당근 종자를 생산하기 위해 하우스내 있는 돼지 허파, 통안에 들어있다



5월말부터 파리들이 서로 날아다니며 꽃가루를 묻혀서 엄마 씨앗에 자꾸 묻혀주면 여기서 조금씩 자라나 성숙한 씨앗(해바라기보다 약간 작음)이 된다는 것이다.
이것을 하나씩 훑어 주면 작은 알갱이 씨앗으로 떨어지고, 이를 알맞게 조제(당근 종자 제모)한 후 종자를 일정한 캔에 담으면 판매할 수 있는 완제품 씨앗이 된다.


당근 종사 육모가 중간쯤 성장한 단계



김 박사의 당근 씨앗 판매는 아직 많은 량은 아니지만 국내에서 제주도에 5% 정도(제주도 당근재배면적 1,500ha)를 공급(종자 1캔 300g, 약 300평 파종)하고 있는데, 이제 시작이다는 것이다. 제주도 당근은 대부분 일본산 씨를 사용하고 있으며, 나머지 지역도 마찬가지다. 씨앗 판매는 평당 2만 원(20kg)의 소득이 올라오고 있다. 또한 일본산 보다 품질이 우수한 당근을 생산하려면 씨앗부터 우수해야 한다.


김 박사의 당근 씨앗은 생산 후 완제품을 보면 일본산 당근과는 별 차이는 없으며, 숙기가 빠르다는 것이 장점으로 작용하고 있다.


김용수 농학박사가 어린 당근 씨앗이 자라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문의  010  9661  4275



해외 당근 종자 시장은 다르다. 
이 같은 종자 생산 방식을 중국에도 접목해 중국 북경의 동성종묘 종자 농장에서 당근 씨앗만 약 30,000㎡(1만평)를 가지고 종자를 육성하고 있다.


여기서 들여온 당근 씨앗도 판매를 하고 있는데, 중국 씨앗은 인건비가 낮으나 생산량은 많아 소득면에서 많은 매출을 올리고 있다. 이 바람에 김 박사는 중국 출장을 한 달에 한번 정도 갔다 온다고 한다.


김용수 농학박사가 당근 종자산업 전체를 간략히 설명하고 있다



영천에서 종자 산업은 아주 생소한 분야다. 영천에서도 종자 산업을 육성해 보는 것도 좋을 것이다고 권유하기도 하는 김 박사는 종자 산업은 직접 개발하는 것 외에도 ‘로열티’(완제품에 항상 포함)를 받고 있는 새로운 산업으로 불리는 ‘재종재배’ 또한 큰 매력이다고 한다.


현재 국내의 경우 국립종자원의 지원 사업으로 우수한 국내 품종의 경우 해외 밀반출의 위험을 줄이기 위해 해외채종을 대신, 국내채종으로 전환하여 해당 업체, 그리고 채종재배 농업인에게 지원해 주고 있다는 것이다. 앞으로 당근 종자에도 확대될 것으로 보인다. 


당근 씨앗이 줄기에서 훑어준뒤 마대에 담겨있다



아직은 작은 면적에서 임대 형식으로 씨앗을 재배해 매출면에서도 작은 편이나 2016년 농업경영인에 선정된 김 박사는 자신의 땅을 가지고 다른 농토도 더 임대해 큰 면적에서 당근 씨앗 재배를 계속 확대해 나갈 계획을 가지고 있다.


또한 영천지역에도 당근 농사를 지을 수 있기에 당근 농사를 해보는 것도 괜찮다고 한다. 우리나라는 제주도에서 부산 양산 창원 강원도에 이르기 까지 군데군데 당근 농사를 하고 있기 때문이다.(현재 김천과 구미에서 경쟁력 차원에서 약간하고 있음)


당근 씨앗이 최종 완성품 캔에 담기전 모습



영천시 행정에서도 채소 농산물이 아닌 종자 산업에 관심을 가지고 종자산업 육성 발전을 수립하여 농가에 보급하는 영천시 특수시책으로도 좋을 것이라고 권유하기도 했다.

대학시절부터 지도교수의 권유로 진로가 결정, 20년 동안 한 길을 걸어온 김 박사는 종자 회사에서 ‘스카웃’ 제의가 많았으나 대학 시절 교수와 함께 자신의 사업(신일종묘 대표)을 육성하기 위해 어렵고 힘든 길을 혼자서 묵묵히 가고 있어 이 시대 젊은이들에 귀감이 되고 있다.


김 박사는 “당근 품종 개발은 종자산업에서도 작은 마이너 산업이다. 큰 메이저 채소 종자 산업 등이 있으나 경쟁이 치열하다. 작은 산업에 적극적인 활동을 통해 많은 소득을 올리는 것이 꿈이다”면서 “후배들도 농촌에 관심을 가지면 얼마든지 많은 산업들이 숨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 현장으로 달려가면 숨은 산업이 조금은 보일 것이다”고 했다.    

                                  김용수 박사 씨앗으로 생산한 당근 완제품

                                 문의  010  9661  427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