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도, 올해 물 부족 겪는 자연마을에 62억원 투입
- 29개 자연마을, 생활용수 1,359가구 3,010여명, 농업용수 20ha 농경지 -
경상북도는 농업용수와 생활용수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면단위 이하 농촌지역 29개 자연마을에 62억원을 투입하여 농업․생활용수개발사업을 시행한다고 밝혔다.
○ 도내 식수난을 겪고 있는 안동시 녹전면 구송리를 비롯한 29개 자연마을에 암반관정을 개발하여, 1,359가구 3,010여명에게 생활용수를 제공하고 영농기에는 인근 20ha의 농경지에 농업용수로 공급할 계획이다.
그동안, 경북도는 1994년부터 2010년까지 상수도가 없는 농촌지역 자연마을 1,083개 지구에 총 1,751억원을 투자하여 87천가구, 214천명 주민에게 농촌 농업․생활용수를 공급했다.
○ 또한, 2014년까지 1,267개 마을에 2,070억원을 투자하여 식수난을 겪고 있는 자연마을 농촌주민 91천가구, 226천명 주민에게 농촌 농업․생활용수를 공급하여 주민들의 물걱정을 덜어줄 계획이다.
경상북도 박순보 농수산국장은 “도내 상수도 보급율은 2010년말 기준으로 83.5%(전국 93.5%)를 넘어서고 있으나, 상수도가 보급되지 않은 자연마을 주민 대부분이 자가우물, 소형관정, 계곡수 등을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면서
○ 앞으로도, 농촌에 농업․생활 용수를 년차적 계획에 의거 지속적으로 추진하여 안전하고 위생적인 농업․생활 용수를 공급하여 농촌 주민의 삶에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 나갈 계획 이라고 밝혔다.
농촌 농업․생활용수개발
면단위 이하 농촌지역 자연마을에 암반관정을개발하여 농업․생활용수 등 다목적 용수공급 ⇒ 생활환경 개선 및 농촌소득 향상에 기여 |
□ 事業槪要
◦ 개발대상 : 1,267지구 2,070억원
∙ 1 단계 : 904지구, 1,453억원(1994~2004)
∙ 2 단계 : 363 〃, 617 〃(2005~2014)
◦ 대상지구 선정
∙ 광역상수도 계획이 없는 면단위 이하지역
∙ 지하수, 하천수 이용 마을중 물부족 오염지역 우선지원
∙ 주민 호응도가 높고 농업․생활용수 등 다목적 이용가능 마을
□ 推進狀況
◦ 2010년 까지 : 1,083지구, 1,751억원(1단계 포함)
※ 87천가구 214천명 급수효과 거양
◦ 2011년 계획 : 29지구 62억원(국비43, 도비6, 시군비13)
∙ 지원기준 : 지구당220백만원
□ 推進方向
◦ 여름철 성수기전 조기완공으로 사업효과 극대화
◦ 지하수 또는 하천수의 수질오염이 심한 지역 우선 개발
◦ 우물기초심도 150~200m, 1일 채수량 100톤이상 개발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벨트 평가기준 지표 방식 정보공개 청구, 대국민 의혹밝혀야 (0) | 2011.05.19 |
---|---|
경북도, 억대농 롤모델 지역농업 ceo 집중 육성 (0) | 2011.05.19 |
국립 낙동강 생물 자원관 드디어 첫 삽 19일 착공식 가져 (0) | 2011.05.18 |
김관용 도지사 건강악화로 경북대 병원 후송 (0) | 2011.05.18 |
과학벨트 절대 수용불가 원천무효 백지화 해야 (0) | 2011.05.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