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비 문화와 영어권 문화의 새로운 만남,
Glocal Culture Leaders Camp
2018 여름방학 중 실용영어 체험캠프 운영
경상북도교육청(교육감 임종식)은 여름 방학 중 도내 초,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영어 학습 기회 확대를 통해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향상하고 영어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자 『실용영어 체험캠프』를 운영하고 있다.
이번 영어 체험캠프는 2015 개정 영어과 교육과정 적용과 초등학교 1, 2학년 영어 방과후과정 운영 일몰 등 과도기를 맞아, 집중적이고 다양한 활동 중심의 영어 수업을 제공함으로써 참가 학생의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하고 글로벌 마인드를 제고하고자 마련되었다.
실용영어 체험캠프는 경북의 대표적인 선비 문화와 영어권 문화의 새로운 만남인 Glocal(Global+Local) Culture Leaders Camp를 슬로건으로 교육지원청 및 도내 초, 중학교에서 특색 있고 창의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사회․경제적 계층에 관계없이 모든 학생들에게 양질의 영어 교육을 제공하고 사교육비 절감과 영어 교육 격차를 해소하고자 운영되고 있다.
경상북도교육청에서는 경주교육지원청 등 6개 교육지원청에서 운영하는 실용영어 체험캠프와 영천 자천초등학교 등 28개 초등학교에서 운영하는 농산어촌 및 도시 소외지역 초등학교 영어체험캠프에 1,411명의 학생이 참여하는데, 약 2억 2,000만원의 사업비를 지원하였다.
경상북도교육청에서는 특히 교육비특별회계와 교육부 특별교부금 사업으로 진행되는 사업이 초, 중학생 영어 학습 기회 확대와 영어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하고 영어 교육 격차를 해소하는 등 실용영어 체험캠프의 사업 목적에 맞도록 최선을 다해 지원하고 있다.
김덕희 정책과장은 “지금까지 영어캠프는 학생들의 영어 학습 기회를 제공하고자 원어민과의 실용영어 회화에 노력을 기울여왔다. 이번 실용영어 체험캠프는 경북 문화와 영어권 문화의 새로운 만남을 주제로 운영되도록 권장하였으며, 학생들이 즐겁게 참여하는 체험 위주의 캠프를 운영하여 영어교육 격차를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고 설명하였다.
[참고 자료]
□ 실용영어 체험캠프
- 교육지원청에서 초, 중학생을 대상으로 영어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갖고 영여 교육격차를 해소하고자 운영하는 캠프
▸사업 기간: 2018. 4. ~ 12.
▸운영 방법: 방학을 이용하여 5일(합숙 3일) 이상
▸사업 예산: 금123,534,000원
▸참가 교육지원청: 포항, 경주, 김천, 구미, 문경, 칠곡(6청)
▸참가 학생: 660명(초, 중학생)
□ 농산어촌 및 도시 소외지역 초등학교 영어체험교실
- 교육 여건이 불리한 지역의 초등학교에 영어교육 지원을 통해 교육격차를 완화하고자 농산어촌 및 도시 소외지역 초등학교 3학년 이상을 대상으로 운영하는 영어체험교실 및 영어캠프비 등 지원
▸사업 기간: 2018. 5. ~ 12.
▸운영 방법: 방학 또는 주말을 이용하여 5일(합숙 3일) 이상 여건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
▸사업 예산: 96,436,400원(교당 250만원~500만원 차등지원)
▸대상 학교: 초등학교 28교
▸사업 내용: 영어캠프 운영을 위한 강사료, 학습자료 구입비, 협의회비 등 지원
▸참가 학생: 751명
▸기타: 2학기 및 겨울방학 중 영어체험교실은 8월 중 신청
[영어체험교실 운영 학교]
지역 | 학교명 | 지역 | 학교명 |
포항 | 유강초, 오천초 | 경주 | 옥산초, 연안초 |
안동 | 온혜초, 풍산초, 임동초 | 영천 | 자천초 |
상주 | 중동초, 중모초 | 문경 | 동성초 |
경산 | 와촌초, 용성초, 경산동부초 | 청송 | 진보초 |
영덕 | 강구초, 영해초, 창수초 | 칠곡 | 왜관초, 학림초, 석적초 |
예천 | 예천동부초, 유천초 | 울진 | 울진남부초, 노음초 |
울릉 | 울릉초, 저동초, 천부초 | 계: 28교 |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폭염 2차 피해방지 위해 예비비 긴급지원 (0) | 2018.08.10 |
---|---|
세계문화유산교육을 위해 백제로 시간 여행 떠나다 (0) | 2018.08.09 |
경북도의회 제11대 전반기 슬로건 발표 (0) | 2018.08.09 |
칠곡군 황산가스 누출사고 조치결과 보고 (0) | 2018.08.09 |
폭염피해 현황 - 8월 7일 4시 현재 (0) | 2018.08.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