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이철우 도지사, 전남도청 취임 후 첫 공식 방문- 재정분권, 2050 탄소중립, 과학기술, 섬 주권 등이 담긴 합의문 체결 -- 전남도청 직원 100여명 대상,“변해야 산다”주제로 특강 실시

영천시민신문기자 2021. 5. 27. 08:00
반응형

이철우 경상북도 지사와 김영록 전라남도 지사는 26일 전남도청에서 국가균형발전과 실질적 자치분권 강화, 2050 탄소중립사회 실현, 첨단 과학기술 발전을 위한 대형 연구시설 유치, 섬 주권 강화, 지방소멸 위기극복 등이 담긴 공동 합의문을 체결하고 대한민국 제2의 도약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해 나가기로 합의했다.

 

이번 전남도청 방문은 20191211일 김영록 전남도지사의 경북도청 방문에 대한 답방 형식으로 양 도지사는 제18·19대 국회의원 시절국회지방살리기 포럼공동대표를 맡아 지방을 살리기 위한 입법 활동을 한 특별한 인연을 가지고 있다.

 

이날 행사에는 자매결연을 맺은 7개 시군을 대표해서 장욱현 영주시장과 김종식 목포시장, 새롭게 자매결연 의향서를 체결하기 위해 전찬걸 울진군수와 최형식 담양군수가 함께 참석해 의미를 더했다.

 

 

또한 경북 출신 목포대 임한규박용서 교수와 기업인 서진로지택 손병기 사장, SLL 오웅필 부회장, 에스제이금속 김종배 이사, ()코리아하이테크 장현식 사장 등이 일정을 같이하면서 민간차원의 상생협력도 돈독하게 했다.

 

그동안 경북과 전남은 동서화합 천사 프로젝트 등 10개 상생협력 과제 추진으로 문화관광, 생활체육, 청소년 교류 등에서 민간차원의 우애를 다져왔다. 특히 성장한계에 직면한 철강산업의 구조고도화를 위해 채택한철강산업 재도약 기술개발사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기술성 평가에서 탈락의 고배를 마셨지만 공동의 대응으로 1,400억 원 규모의 예비타당성조사를 통과하는 큰 성과를 거두었다.

 

또한 인구 소멸위험지역이 가장 많이 있는 두 광역단체가 특별재정 지원이 담긴인구소멸지역 지원 특별법을 마련하고 정책 토론회와 국회 공청회 등을 거쳐 국회입법이 추진되고 있어 곧 가시적인 성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신규로는 탄소중립 기후위기 대응 프로젝트 부동산 교부세 교부기준 변경 지역자원시설세(원전세) 확보 곤충산업 육성 공동 협력 보건환경 정보정책 공유 및 역량강화 영호남 여성단체 교류 강화 등 총 6개 과제를 채택하고 상생협력을 더욱 공고히 해 나가기로 했다.

 

특히 탄소중립에 대한 도민들의 공감대 형성을 위해 공동 유튜브제작, ‘탄소중립 숲 조성등을 통해서 온실가스 줄이기 작은 실천운동을 공동 협력하고 가동중인 원자로 총 17(경북11, 전남6)에서 발생하는 방사성폐기물에 지역자원시설세를 연간 1,880억원(경북1,450 전남430)을 부과하는 지방세법 개정에 공동 대응키로 의견을 모았다.

 

이날 회의에서 이철우 경북도지사는영호남은 단순한 교류와 상생을 넘어서 대한민국 남부권 균형발전을 위한 새로운 축의 전환의 중심 역할을 해야 한다. 그린뉴딜과 AI 등 제4차 산업혁명 주력 산업이 수도권에 집중되어 있다. 한때 대한민국의 중심이었던 경북과 전남이 새로운 시대를 주도하기 위해 힘을 모아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철우 경북도지사는 전남도청 100여명의 직원들과 함께변해야 산다를 주제로 특강과 상생토크 시간을 가지고, 국민관광지로 각광을 받고 있는 여수 해양관광벨트 등을 견학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