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이만희 의원 국정감사

영천시민신문기자 2018. 10. 11. 17:30
반응형




농림축산식품부 국정감사 보도자료



농업 분야 스마트폰 앱(APP),혈세들여 개발




해놓고 3개중 1개는개점휴업 상태




농림축산식품부, 관련 산하 공공기관 16곳에서 혈세를 들여 출시한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3개 중 1개가 현재 서비스 중단 상태인 것으로 나타남

이만희 자유한국당 의원(자유한국당, 경북 영천시·청도군, 농해수위)이 농림축산식품부로부터 받은 자료에 의하면 2013년 이후 16개 농림축산식품부 산하공공기관에서 출시한 스마트폰 앱은 총 109개로 투입된 예산은 총 518억원(개발‧출시‧홍보비 424억, 유지‧관리비 94억원), 그 중 현재 서비스 중단 상태인 앱이 전체의 3분의 1인 36개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됨. 중단된 어플리케이션 개발 및 운영에 그간 투입된 예산은 27억원에 달함

.

 주요 기관의 스마트폰 앱 출시 및 중단 현황을 살펴보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과 한식인증원이 각각 8개의 앱을 개발했지만 중단된 앱이 6개에 달했고,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역시 개발한 8개 앱중 5개가 이용률 저조 등의 사유로 폐기



기관명

출시 어플 수

중단 어플 수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8

6

한식인증원

8

6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8

5

한국마사회

5

1

농촌진흥청

3

1

국립농업과학원

3

3

국립식량과학원

2

2

국립축산과학원

1

1

한국농수산대학

1

1

< ‘13년 이후 주요 기관의 스마트폰 앱 출시 및 중단 현황 >


 폐지사유를 살펴보면 ▲이용율 저조(13건), ▲부처별 홈페이지개편과정에서 기능이 통‧폐합(11건), ▲기존 출시 앱과 서비스 내용이 유사(10건), ▲관련 사업 종료(2건) 순임

 농촌진흥청의「스마트농업기술교육」,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의

「식품산업통계정보」,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의「농식품 6차산업 온라인서비스」와 같이 시중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정보 및 서비스를 중복하여 제공함에 따라 차별화에 실패하거나



 모바일로 벼 재배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하는 어플인 국립식량과학원의「쌀 만들기」, 칼로리 배틀‧칼슘 배틀 등 게임을 통해 영양정보를 습득하도록 한 국립농업과학원의「매일매일 건강게임」어플리케이션과 같이 대중의 취향과 기호를 고려하지 않은 전형적인 탁상행정으로 국민들의 외면을 받은 경우도 있음


 산림청「내 주변의 식물찾기」의 경우 기존 민간기업 및 포탈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기능이 유사하여 폐기됨


< 서비스 중단 어플리케이션 예시>


기관명

어플리케이션명칭

제공 서비스

중단 사유

농촌진흥청

스마트

농업기술교육

‧ 모바일을 통한 농업기술 제공

기능 통폐합

산림청

내 주변의

식물찾기

‧ 식물 잎 이미지 인식을 기반으로 식물 정보 제공

기존 앱과

유사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식품산업통계정보

‧ 국내외 기관에 산재한 식품관련 통계정보를 원스톱 제공

이용률 저조

국립농업과학원

매일매일 건강게임

‧ 칼로리 배틀, 칼슘 배틀 등 게임을 통해 영양정보 습득

이용률 저조

국립식량과학원

쌀 만들기

‧ 초등학생 등 일반 국민이 벼 재배과정을 체험할 수 있도록 관련 정보 제공

이용률 저조

농림수산식품교육

문화정보원

농식품 6차산업

온라인서비스

‧ 6차산업 상담 게시판, 지식나눔, 인증사업자 현황 제공

기능 통폐합

텃밭 114

‧ 전국의 텃밭 보유 현황 및 텃밭 구성에 필요한 재료,

관리방법 등에 대한 콘텐츠 제공

기능 통폐합

한식진흥원

Korean Restaurant

Guide E-Beijing

‧ 중국 북경 지역 한식당 정보 및 주요 메뉴 소개

이용률 저조

국립축산과학원

한우 체형스캐너

‧ 한우의 체장 및 체고 측정을 통해

체중과 가슴둘레를 손쉽게 측정

이용률 저조

이만희 의원은 국민의 세금으로 개발한 농업 관련 스마트폰 앱 상당수가 농민과 소비


자의 외면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앱 개발의 필요성을 점검하고 개발 이후에도 국민의 편의를 위해 사후 운영에 더욱 힘쓸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며


 기존 어플리케이션의 추후 통‧폐합 및 업그레이드 과정에서도 추가적인 예산 낭비나 불필요한 투자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해야 한다고 강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