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 천 시

상주-영천고속도로 공사차량 과적 단속에 가장 많이 적발

영천시민신문기자 2017. 4. 26. 08:30
반응형


         상주-영천고속도로 공사차량 과적 단속에 가장 많이 적발

           공사장 주변 시민들과 행정에서 철저한 감시 감독 필요




고속도로공사 현장, 아파트 공사 현장 등 대형공사장으로 드나드는 대형트럭들로 인해 도로 훼손이 너무 심하다. 훼손을 예방할 수 있는 도로 관계자들의 말을 듣고 효과적인 도로관리 방안을 알아보자.



▲ 경상북도 종합건설사업소 도로정비과


경상북도 종합건설사업소 북부지소는 지난 3월, 지난해 북부지소 특별사법경찰이 664대를
검차해 123대의 운행제한위반 차량에 대해 과태료 부과처분하고, 2건을 검찰에 기소하
였다고 밝혔다. 이는 전년도(46대) 대비192%를 증가한 수치이다.(2016년 지방도 과적차량 단속결과)
2015년 대비 주요 증가원인은 지난해 상주∼영덕 간 고속도로건설공사, 중앙선(도담~영
천)복선전철도건설사업 등 북부 지역 건설경기 호황과 일부 운전자의 준법정신 결여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이에 북부지소에서는 도로파손방지와 주요구조물 안전사고 예방 등 과적운행방지 협조 서한문을 발송하고, 이동단속차량과 특별사법경찰관으로 하여금 예방순찰활동을 지속적 실시함은 물론 제반대책으로 운행제한 안내 표지판을 설치하고 올해는 주요지점에 간이 검문소 2개소와 표지판 등을 점차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고 밝혔다.


화산면 암기리에서 신녕면 신녕초등학교 가는 도로도 공사장 대형트럭 통행으로 아주 낡아 있다



이는 북부지소에서 밝힌 자료이지만 (남부지소는 없음)남부지역 결과도 별 차이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담당자는 “단속도 단속이지만 직원들 다니는 자체도 감시원 역할을 하고 있다. 경상북도 국도 지방도 등 모두 3천km 이상이다. 직원들이 출장 등을 병행하면 하루 200km 정도 달린다. 오고 가면서 도로를 순찰하기도 한다.”면서 “영천에도 도로순찰 기동복구반이 있다. 지방도는 도에서 시군에 위임을 하고 있다. 지방도 관리 수로원이 있다. 도로 훼손 등은 하중 때문에 문제가 발생하므로 과적단속이 필수적이다.”고 지방도 관리를 설명했다.


▲포항국토관리사무소


포항국토관리 사무소 담당자는 “도내 국도는 605km 이며, 영천지역 국도는 35호선, 4호선 등이 있다. 포항관리소 무기계약직 관리원과 현지 수로원(영천 1명)이 상시적으로 근무하고 있다. 이들은 제초관리에서부터 낙하물 청소와 제거 처리 등을 맡고 있으며, 교통사고 위험지역과 재해지역을 항상 모니터링하고 있다.”면서 “사무실 장비로는 덤프트럭, 포크레인, 노면청소차 등을 보유하고 있어 문제 현장을 그때그때 처리하고 있다.”고 했다.


또 “도로는 공공시설이라 주민들 개개인이 도로 관리에 무신경하다. 도로를 내 물건 같이 사용하고 사용 후 뒷정리까지 깨끗하게 해주는 주민을 찾아서 앞으론 격려차원에서 상을 주는 방안도 검토해 보겠다.”고 했다. 


대구시 동구 혁신도시내 공사현장, 현장 인부가 도로에 떨어진 이물질을 치우고 있다



▲상주영천고속도로 주식회사


상주영천고속도로 주식회사(상주시 신봉동 위치) 담당자는 상주-영천 고속도로 공사현장 도로 훼손에 대해 “고속도로 공사 마무리 시점, 모두 복구 또는 새로 포장한다.”고 설명했다.
담당자는 또 “우리 공사 때문에 파손된 도로는 모두 보수한다. 기존 도로 사용에 대한 유지 보수비가 설계에 반영돼 있다. 지금은 고속도로 본선 마무리가 한창이므로 마무리가 끝나는 시점에서 한꺼번에 보수한다.”고 설명했다.


영천에서 이루어지는 대형공사는 상주-영천간 고속도를 비롯해 중앙선 복선, 대구선 복선, 신경주간 복선, 영천-언양 경부고속도로 확장, 영천-삼창 국도확장을 비롯해 시내 건설중인 아파트 공사 등이 대표적이다. 문제는 도로 공사현장 차들은 도로사용에 따른 훼손 부분을 모두 복구한다고 하니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이나 아파트 공사 등은 공사를 마치고 떠나면 그만이라 행정과 공사장 주변 시민들의 철저한 감시 감독이 필요하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