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상북도

경북 주택건설경기 꾸준한 활황세

영천시민신문기자 2015. 8. 11. 14:30
반응형

 

 

경상북도, 주택건설경기 꾸준한 활황세

 

 

‘15년 상반기(1~6월) 아파트 허가 13,800여 호로, 광역시․도 중 3번째

 

 

 

 

경상북도는 2015년 상반기 기준 주택건설 관련 지표 등을 분석한 결과 주택건설 경기가 꾸준히 활황세를 보이고 있으며, 미분양 주택도 점차 감소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2014년 동기대비 주택건설사업계획승인 실적은 35% 증가한 13,800여 호이며, 미분양 주택도 지난해 말 기준 2,000세대로 공급물량과 비교하면 점차 감소하는 추세이다.

 

상반기 경북도내 주택건설 관련 주요지표를 살펴보면 아파트 사업승인은 13,800여 호로 구미시 2,445호, 경산 1,213호, 김천, 700호, 예천군 1,963호 이며, 대구지역 5,903호의 2.3배, 전국 물량의 7%에 해당된다.

주택신규 분양 실적은 2015년 상반기 15,431호로 2014년 동기 7,099호와 비교하여 117%증가 되었으며, 이는 아파트 사업승인 물량 증가로 인한 동반 상승한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주택거래(매매) 실적은 2014년 상반기 23,415호 대비 37,952호로 62%가 증가 하였으며 9.1 부동산 대책 발표로 가격상승 기대감과, 대출금리 인하 등으로 실수요 중심으로 소폭 상승 했다.

경북도내 분양 아파트의 평균 분양가격은 지난해 6월(6,554천원.3.3㎡) 대비 3.3㎡당 6,887천원을 기록, 전년 동월대비 5%가 증가했다.

 

 

경북도의 아파트 경기가 활황세가 지속되는 주요 요인은 ▷ 포항의 KTX역사 신설, ▷ 동해중부선 철도 추진, 포항~울산간 고속도로 개통▷ 구미 국가산업단지의 확장건설과 국가 5산업단지 건설, ▷ 경산 대구도시철도 1호선 하양연장 추진, ▷ 김천 혁신도시건설, 예천 신도시개발사업 등 대형 국책사업이 꾸준한 호재로 작용한 걸로 나타났다

경상북도 최대진 지역균형건설국장은 올 하반기도 분양가 상한제 폐지 등의 부동산 경기활성화 대책, 대형 국책사업의 원활한 추진, 혁신도시의 공공기관 입주, 도청이전 등과 맞물려 지난해 못지않은 부동산 경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도에서는 이러한 분위기가 이어질 수 있도록 아파트 사업승인 건축위원회 심의규정을 간소화하여 신속한 업무처리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지역 주택건설 경기가 지속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2015년 상반기 주택건설 경기동향

 

 

 

도내 2015년 상반기 부동산(주택) 경기동향 분석․발표

 

- 상반기 주택 인․허가 1만3천호로 전년동기 대비 35.4% 증가

 

 

주택건설 동향(2015. 1~6월 상반기)

 

 

구 분

상반기

전국누계

 

경북도 누계

도상반기/

 

전국누계

(%)

타 시도

 

대 비

‘15상반

 

‘14상반

 

증감율

 

(%)

사업승인(호)

 

194,644

 

13,819

 

10,258

35.4

 

7.09

3위

 

(경기,경남)

분양공급

승인(호)

217,796

15,431

7,099

117

7.08

4위

 

(경기,충남,경

 

남)

 

주택매매(호)

629,989

37,952

23,415

62

6.02

6위

 

6월 분양가격

 

 

(천원/3.3㎡)

8,627

 

(전국평균)

6,887

6,554

5

-

14위

 

 

(사업승인) 상반기 1만3천호, 전년동기(1만호)대비 35.4% 증가

(분양승인) 상반기 1만5천호, 전년동기(0.7만호)대비 117% 증가

(주택매매) 상반기 3만7천호, 전년동기(2.3만호)대비 62% 증가

‣(분양가격) ‘15.6월 6,887천원(3.3㎡), 전년동월(6,554천원)대비 5% 증가

 

우리도 영향(전망)

 

지난해(‘14년 2.8만호)에 이어 지속적인 주택물량 공급

광역 SOC망 구축, 산업단지 및 혁신도시, 도청이전신도시 건설 등의 개발사업 영향으로 주택 공급물량 및 거래량이 증가

 

※ 주택 활성화 주요정책

2014. 9. 1 대책

2014. 12. 29 대책

‣재건축 연한 단축 : 40년→30년

‣청약제도 단일화 및 융자혜택

대규모 택지에서 중소규모 택지로 공급 유도

재건축초과이익환수제 ‘17년까지 유예

‣분양가상한제 민간택지 탄력 적용

‣재건축 조합원 분양주택 1채 → 3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