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세계적인 물기업과 손잡고 세계로 ~
김관용 지사, 佛 수에즈환경그룹, 덴마크 댄포스
스위스 네슬레사 초청 세일즈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 2015 대구경북 세계 물포럼에 참가한 글로벌 기업을 대상으로 물산업을 비롯한 탄소성형산업 육성을 위해 광폭 세일즈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경상북도는 이번 물포럼을 계기로 2000년 이후 매년 5%이상 지속성장하는 미래 블루골드산업인 물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기 위해 글로벌 기업 유치에 전력을 다하고 있다.
14일 김관용 경북지사는 한국진출을 강력 희망하고 있는 스마트 워터 테크놀로지 분야 최고기술을 보유한 물산업분야 세계 2위 기업 프랑스 수에즈환경그룹의 장루이 쇼사드 회장과 경영진을 초청해 경북도내 물산업 기업과의 협력 방안에 대해 협의했고,
이어, 덴마크 소재 물산업의 명문 기업으로 자동제어장치 및 모션컨트롤, 냉동 공조분야 명문기업인 댄포스사 경영진과도 별도 회담을 통해 경북의 투자환경을 설명하는 시간을 가졌다.
15일에는 스위스의 대표기업으로 물산업 및 식품음료전문 기업인 네슬레사 틀로스 콘조르맨 부사장을 비롯한 글로벌기업 사장단을 초청해 경북도지사와의 특별상담도 예정돼 있다.
이인선 경제부지사도 14일 오후 코엑스 물포럼 전시장에서는 일본의 우수 부품 업체 18개사를 대상으로 순회상담회를 전개하는 등 다각적 유치활동을 병행하고 있다.
한편, 지난 4월 13일에는 멤브레인 및 탄소섬유분야 세계 최고 기업인 일본 도레이사 닛카쿠 아키히로 사장을 비롯한 경영진과 간담회를 통해
경상북도 권역별 물산업 육성전략
구미국가5산업단지를 중심으로 20여만 평 규모의 멤브레인 및 탄소성형클러스터 조성에 더욱 투자를 확대해 나가기로 하는 등 투자유치에 큰 성과를 거둔 바 있고,
지난 4월 9일에는 속리산 생수를 캄보디아에 전국 최대 규모인 6년간 최대 700억 원을 수출하는 성과를 거둬 생수 수입국가에서 생수 수출국가로 단번에 전환하게 됐다.
이와 같이 경상북도는 이번 제7차 세계 물산업을 계기로 물산업 육성 기반 체제 및 인프라 구축, 글로벌 물기업 유치에 전력을 다 함으로써 미래 먹거리 산업인 물산업의 중심지로 경북을 발전시켜 나간다는 야심찬 계획을 한단계식 실행하는 알찬 성과를 거두고 있다.
김관용 경상북도지사는“제7차 세계물포럼의 유치는 단순한 행사가 아니라 글로벌 TOP기업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비즈니스 연결통로로 활용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다”며,
“무엇보다 급성장세를 보이는 세계물시장에 지역 기업이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해 세계 최고의 기술을 자랑하는 경북의 멤브레인 산업을 통해 세계 물 시장을 선점할 수 있는 기반을 조성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경상북도 권역별 물산업 육성전략
참고자료 – 경북의 물산업 여건 및 환경
경북도는 낙동강, 형산강 등 6개 국가하천과 안동댐, 임하댐 등 11개의 댐이 있으며, 동해 청정지역의 해양심층수와 울릉도 화산암에서 자연적으로 솟아나는 용천수 등 수자원이 어느 지역보다 풍부하다.
또한 염색, 제철, 전자 등 폐수배출량이 많은 대규모 공업단지가 주로 경북에 위치해 있어 개발기술의 실증화 플랜트 확보가 유리하며, 삼성, LG 등 대형 내수업체뿐 아니라 23개 시군에서 운영되고 있는 총 564개(하수처리시설 330, 취∙정수장 191, 분뇨처리시설 30, 가축분뇨처리시설 13)의 상하수도 시설이 운영되고 있어 물 시장 규모가 타 자치단체에 비해 크고 다양하다.
특히, 물산업의 핵심 소재인 멤브레인(RO부문) 생산량이 세계 4위, 국내 생산량의 70%를 차지하는 도레이케미칼과 코오롱인더스트리 등 4개의 멤브레인 생산업체가 지속적으로 생산량을 확대하고 있고, 기술축적이 계속 이뤄지고 있다.
경북도는 2011년 물산업과를 신설해 물산업 육성업무를 전담토록 했으며, 2012년에는 전국 최초로‘경상북도 물산업 육성 조례’를 제정해 물 관련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를 마련했고, 물산업의 공감대 형성과 상생 협력방안을 모색을 위한‘물산업육성협의회’와‘멤브레인 기업육성 협의체’를 운영하고 있다.
도는 세계 물포럼을 계기로 경북도의 물산업을 새롭게 도약시키기 위해 2018년까지 총 6,340억 원이 투입하는‘경상북도 권역별 물산업 육성전략’을 수립해 추진하고 있다.
이 육성전략은 경북의 수환경과 수생태계를 충분히 활용하고, 특화된 물산업이 지역실정에 맞게 효율적으로 연계 추진될 수 있도록 경북을 북부권, 서남부권, 동해안권 3개 권역으로 구분해 추진된다.
'경상북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종쌀 생산농가 도내 첫 모내기 (0) | 2015.04.14 |
---|---|
물포럼 세계인들 경북관광 찬사, 아름다운 경치 전통문화 매료 (0) | 2015.04.14 |
제3기 경상북도 교육발전협의회 출범 (0) | 2015.04.14 |
노벨상이 영글어 간다 (0) | 2015.04.14 |
박 대통령 제7차 세계물포럼 개회식 참석 (0) | 2015.04.14 |